-
<br />
2015년 가을에 드디어 숙소를 이사했다. 그전까지는 2층 침대 3개와 매트리스 1개로 한 방에서 7명이 다 같이 잤었다. 곰팡이 때문에 벽과 침대 사이를 떨어뜨려 놨으며 매니저와도 같이 살고 있었고 굉장히 열악한 곳에서 살고 있었다.데뷔 초 리얼리티 임현식의 말에 따르면 이삿짐 회사에서 이렇게 많은 이삿짐은 처음 봤다고 한다. 침대도 굉장히 좋아서 일어나기 싫다고 한다.
숙소를 바꾸기 전까지는 일곱명이 한방에서 잤으므로 6개월마다 침대자리를 바꾸는 침대결산을 자체적으로 치렀다. 침대자리마다 환경이 극과 극이었기 때문에 사다리타기 한번에 희비가 교차하는 나름 비투비내에서 큰 축제였다. 이제는 각자 방이 있어서 침대결산은 옛이야기. 침대결산이 사라져 레드카펫으로 옮겼다는 소문이 있다.
아이돌 홍수라고 불리는 2012년 데뷔팀에서 거의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아이돌팀으로 데뷔 후 지상파 1위까지 걸린 시간이 1위를 할 당시에는 가장 오래 걸린 아이돌이었다. 보통 '3년의 법칙' 이라고 하여 아이돌 3년차인데도 공중파 1위를 하지 못하면 영원히 하지 못한다라는 징크스를 남녀그룹 통틀어서 최초로 깬 그룹. 다른 아이돌 그룹과 다르게 한 계단씩 차근차근 올라가며 인성, 실력, 예능감 여러 방면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 단적인 예로 음악사이트 당일 차트 아웃에서 음방 3위에서 2위로 차근차근 올라오고 있는 중이다. BTOB 루트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리고 10월 21일, 드디어 쇼챔피언에서 '집으로 가는 길'로 첫 1위를 달성하며 실시간 검색어 1위에도 올랐다. 아쉽게도 그 당시 지상파 1위는 하지 못했으나 바로 다음 활동인 '봄날의 기억'으로 1480일 만에 뮤직뱅크에서 첫 지상파 1위를 하였다. 멤버들도 수상소감을 하면서 떨리고 설레던 마음을 감출 수 없었는지 말을 더듬거리기도 했다.
아이돌 무대에서 자주 보이는 칼군무는 없는 편이다. 군무(無)돌이라고 불릴 정도다. 본인들도 춤을 못 춘다고 인정했다. 2015년 이후로 발라드로 전향한 이후로는 안무에도 큰 동작이 없어 춤을 보여줄 기회가 적어지고 있다. 개개인만 떼어 보면 몸치는 아니지만 춤을 출 기회가 줄었다 멤버 춤선 탐구 2016년 주간아이돌에서 선보인 2배속 WOW는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 수준. 그래도 2016년 11월에 나온 기도에서는 팬들이 놀랄만한 섹시 칼군무를 준비했다.
여담으로 1997년에도 비투비라는 이름은 같지만 전혀 관련이 없는 남성 3인조 그룹이 있었는데. 이쪽은 Born To Beat가 아니라 Black To Black의 약자를 딴 것이다. 그리고 'B2B', 'BIIB'를 약칭으로 정해서 활동했었고 방송에서도 그렇게 나왔다.[24] 타이틀 곡은 '바보사랑'. 이 해에 활동을 하고 소리 소문없이 활동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요즘에 들어가서는 거의 많이 잊혀진 듯한데. 비투비 데뷔 당시 이 그룹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거 보면.. 멜론 등 사이트에서는 Black To Black으로 가수 이름을 표기했지만 유튜브 MBC 계정에서는 비투비로 표기했다.
<괜찮아요>-<집으로 가는 길>-<봄날의 기억> 발라드 3부작에서 본격적으로 팬을 모으고 인지도를 올리면서 음악방송 1위 트로피도 많이 타갔다. 이후 <기도> 활동에서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얻었으나 조금 주춤한 면이 있었다. 그러나 <MOVIE> 활동기에 이전의 성적들 보다도 더 나은 결과를 냈으며 같은 해 다시 발라드 타이틀을 들고나온 <그리워하다>에서는 <MOVIE> 활동에 비해서도 역대급이라 할 만큼 음원성적이 좋다.
<I MEAN> 재킷 촬영 현장 영상에서 서은광, 이창섭이 독방을 쓴다고 했다. 서은광은 각 방을 쓰니까 같이 사는 거 같지 않다고 했다. 정일훈은 인터뷰에서 룸메이트가 임현식이라고 밝혔다. 2016년 V앱 촬영당시 육성재가 프니엘에게 "혼자 사니까"라고 언급을 한 걸로 미루어 팬들은 프니엘이 반려견 페니와 따로 산다고 추측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점은 없다. 2017년 신양남자쇼에서 최근에 이사를 했다고 언급했다. 숙소가 한번 더 바뀐 듯 하다.
==팬덤특징==
<br />